로버트 F. 스톡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F. 스톡턴은 1795년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태어난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미영 전쟁에 참전하고 지중해 등지에서 복무하며 노예 매매 단속에 참여했다. 라이베리아 건국에 관여했으나 강압적인 방법으로 논란을 빚기도 했다. 1838년 해군에 복귀하여 프린스턴 호 건조를 지원했으며, 1847년 멕시코-미국 전쟁에 참전하여 캘리포니아를 점령하는 데 기여하고 캘리포니아의 초대 군정 장관을 지냈다. 이후 뉴저지주 연방 상원의원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저지주의 연방 상원의원 - 밥 메넨데스
밥 메넨데스는 쿠바계 미국인 출신으로 뉴저지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연방 하원의원과 상원의원을 역임했으며, 뇌물 수수 혐의로 기소된 바 있고 진보적인 정책과 공화당과 유사한 대외 정책을 옹호했다. - 뉴저지주의 연방 상원의원 - 코리 부커
코리 부커는 1969년생으로 뉴저지주에서 성장하여 뉴어크 시장과 연방 상원 의원을 역임한 미국의 정치인이다. - 18세기 미국 사람 - 존 애덤스
존 애덤스는 미국의 제2대 대통령이자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미국 독립 혁명 시기 독립 운동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독립 후에는 외교관, 부통령을 거쳐 대통령으로 재임하며 프랑스와의 준전쟁 해결, 해군 창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8세기 미국 사람 - 제임스 뷰캐넌
제임스 뷰캐넌은 1791년에 태어나 1857년부터 1861년까지 제15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노예제 문제와 경제 공황을 겪었고 남부의 탈퇴 시도에 미온적으로 대처하여 비판을 받았다. - 미국의 멕시코-미국 전쟁 참전 군인 - 제퍼슨 데이비스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인 제퍼슨 데이비스는 아메리카 연합국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을 이끌었으며, 노예제 옹호와 남부 연합 지도자로서의 역할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미국의 멕시코-미국 전쟁 참전 군인 - 프랭클린 피어스
프랭클린 피어스는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안 논쟁과 당파 갈등 속에서 제14대 미국 대통령을 지낸 뉴햄프셔 출신 민주당원으로, 세 아들의 죽음과 알코올 중독으로 고통받았으며 외교 정책은 후대 대통령들에게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로버트 F. 스톡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Robert Field Stockton |
출생일 | 1795년 8월 20일 |
출생지 |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 |
사망일 | 1866년 10월 7일 |
사망지 |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 |
별칭 | 해당사항 없음 |
경력 | |
직업 | 사업가, 정치인, 군인 |
병역 | 미국 해군 |
소속 정당 | 민주당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2.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1795년 8월 20일, 로버트 F. 스톡턴은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영향력 있는 정치인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리처드 스톡턴은 미국 하원 의원을 지냈으며, 할아버지 리처드 스톡턴은 미국독립선언에 서명한 인물이다.[1]
16세에 미국 해군 사관후보생으로 입대하여 미영 전쟁에서 활약하였다. 전쟁 이후 지중해, 카리브해, 서아프리카 해안 등에서 복무하며 노예 무역 단속 임무를 수행했고, 미국 식민지협회와 협력하여 라이베리아 건국에 관여하기도 했지만, 이 과정에서 강압적인 방법을 동원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1] 1820년대 후반과 1830년대에는 주로 뉴저지의 상업 업무에 주력했으며, 이후 뉴저지에서 미국 상원 의원으로 선출된 아들 존 P. 스톡턴(John P. Stockton)이 태어났다.
1838년 해군 함장으로 복귀하여 유럽에서 근무하다가, 1840년 정치에 입문하기 위해 휴가를 냈다. 1841년 존 타일러 대통령으로부터 해군 장관직을 제의받았으나 거절했다. 대신 존 에릭슨이 설계한 최초의 증기 군함 프린스턴 호 건조를 지원했다. 1843년에 완성된 프린스턴 호는 대형 포를 탑재했지만, 1844년 2월 대포 폭발 사고로 여러 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하지만 스톡턴은 이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았다.[1]
2. 1. 미영 전쟁 참전
1795년 해군사관학교 생도로 임명되어 미영 전쟁에 참전하여 해전에서 활약했다.[1] 전쟁 이후 스톡턴 중위는 지중해, 카리브해 및 서아프리카 해안에 파견된 군함에서 복무했다. 그는 노예 매매에 대해 조치한 최초의 해군 장교로 몇 척의 노예선을 나포했다.[1]2. 2. 노예 무역 반대 활동
스톡턴은 지중해, 카리브해 및 서아프리카 해안에 파견된 군함에서 복무했다. 그는 노예 매매에 대해 조치한 최초의 해군 장교로 몇 척의 노예선을 나포했다.[1]2. 3. 라이베리아 건국 관여
스톡턴은 미국 식민지협회의 엘리 에아스 박사와 함께 라이베리아 건국을 위한 조약 협상을 주도했다.[1] 그러나 이 과정에서 현지 왕들에게 총을 겨누고 땅을 빼앗는 등 강압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문제를 일으켰다.[1] 그는 노예 매매에 반대하여 조치를 취한 최초의 해군 장교 중 한 명으로, 여러 척의 노예선을 나포하기도 했다.[1]3. 해군 지휘관 및 멕시코-미국 전쟁
1838년 스톡턴은 함장으로 해군에 복귀했다. 1840년에는 정치에 입문하기 위해 휴가를 냈으나, 1841년 존 타일러 대통령의 해군 장관직 제의는 거절했다. 대신 대형 포를 탑재한 새로운 증기 군함 건조를 지원했다.[1] 존 에릭슨이 설계한 프린스턴 호는 1843년에 완성되었으나, 탑재된 대포에 결함이 있어 1844년 2월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몇 명이 사망했지만, 스톡턴은 책임 추궁을 면했다.[1]
1847년 1월, 준장 지위로 동태평양에서 해군을 이끈 스톡턴은 리오 산가브리엘 전투와 라메사 전투에서 멕시코로부터 캘리포니아를 빼앗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1] 그는 카우엥가 조약을 이끌어내 종전에 기여했고, 캘리포니아 초대 군정 장관을 지냈다.
3. 1. 프린스턴 호 건조
1838년 스톡턴은 함장으로 해군에 복귀했다. 1840년에는 정치에 입문하기 위해 휴가를 냈으나, 1841년 존 타일러 대통령의 해군 장관직 제의는 거절했다. 대신 그는 대형 포를 탑재한 새로운 증기 군함 건조를 지원했다.[1]이 군함이 미국 해군 최초의 증기 군함인 프린스턴 호이다. 존 에릭슨이 설계하여 1843년에 완성되었으나, 탑재된 대포에 결함이 있었다. 1844년 2월 대포 폭발 사고로 몇 명이 사망했지만, 스톡턴은 책임 추궁을 면했다.[1]
3. 2. 멕시코-미국 전쟁 참전
1847년 1월, 준장 지위에 있던 스톡턴은 동태평양에서 해군을 이끌고 리오 산가브리엘 전투와 라메사 전투에서 멕시코로부터 캘리포니아를 빼앗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1] 그는 카우엥가 조약을 이끌어 내며 종전에 기여하였고, 캘리포니아의 초대 군정 장관을 지냈다.3. 3. 캘리포니아 군정 장관
1847년 1월, 준장 지위에 있던 스톡턴은 동태평양에서 해군을 이끌고 리오 산가브리엘 전투와 라메사 전투에서 멕시코로부터 캘리포니아를 빼앗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카우엥가 조약》을 이끌어 내며 종전에 기여하였다. 그는 캘리포니아의 초대 군정 장관을 지냈다.[1]4. 정치 경력
1840년, 스톡턴은 정치에 입문하기 위해 해군에서 휴가를 냈다. 존 타일러 대통령은 그에게 해군 장관 직을 제의했지만, 스톡턴은 이를 거절했다.[1] 대신 그는 대형 포를 탑재한 새로운 증기 군함 건조를 지원했고, 이는 프린스턴 호 건조로 이어졌다. 1844년 프린스턴 호에서 발생한 대포 폭발 사고에도 불구하고 책임 추궁은 면했다.[1] 1847년 1월, 캘리포니아에서 리오 산가브리엘 전투와 라메사 전투에서 멕시코 군을 상대로 승리하여 카우엥가 조약 체결을 이끌었고, 캘리포니아 초대 군정 장관을 지냈다. 1850년 5월, 해군에서 제대한 후, 본격적으로 정치 경력을 시작하였다.
4. 1. 뉴저지주 연방 상원의원
1851년 민주당 소속으로 뉴저지주 연방 상원의원에 선출되었다.[1] 그는 해군에서 징벌 수단으로 사용하던 채찍형 폐지 법안을 발의했다.[1] 1853년 1월 10일 상원의원직을 사직하고 델라웨어 & 라리탄 운하 사장에 취임하여 1866년까지 역임했다.[1]4. 2. 1861년 평화 회의
1861년 스톡턴은 남북 간의 화해를 위한 평화 회의(Peace Conference of 1861)에 참여했지만, 회의는 실패로 돌아갔고 남북전쟁이 발발했다.[1]4. 3. 남북 전쟁
1861년 북부와 남부의 화해를 위한 협상(Peace Conference of 1861)에 참여했지만, 실패하고 남북전쟁이 발발했다. 1863년 남부연합군이 펜실베이니아를 침공하자, 뉴저지 민병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5. 말년 및 유산
로버트 F. 스톡턴은 1866년 뉴저지 주 프린스턴에서 사망하여 프린스턴 묘지에 안장되었다.[1]
미 해군은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3척의 함정에 그의 이름을 붙였다. 캘리포니아의 스톡턴을 비롯한 여러 지명이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6.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851년 선거 | 상원의원 (뉴저지 제1부) | 32대 | 민주당 | 100.00% | 1표 | 1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